반응형
최근 정부가 발표한 세제 개편안은 국내 경제와 투자 환경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 대주주 기준 강화, 그리고 배당소득 분리과세 논란은 모두 우리 경제에 직결되는 민감한 이슈입니다. 다만 이번 변화는 우파적 시각에서 볼 때, 시장 자유와 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본래의 방향에서 다소 벗어난 측면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1.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 기업 경쟁력 약화 우려
📌 기업 친화적 기조에서 후퇴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기업이 살아야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기조 아래 감세 정책을 추진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24% → 25%)**은 이러한 원칙에서 후퇴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부담 증가: 대기업일수록 법인세 부담이 커져, 연구개발(R&D) 투자나 고용 창출 여력이 줄어듭니다.
○국제 경쟁력 약화: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세율이 낮은 국가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한국의 세율 인상은 기업 유치 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소비자 피해: 세금은 기업이 아닌 국민이 부담하게 됩니다. 법인세 부담이 늘어나면 가격 인상, 고용 축소,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일반 가계에까지 파급됩니다.
우파 시각에서는 세수 확보보다 기업 활력과 일자리 창출이 우선이라는 점에서 이번 조치는 장기적으로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큽니다.
2. 대주주 기준 강화: 중산층 투자자까지 세금 부담
📌 “부자 증세”의 허상
정부는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 → 10억 원으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고액 자산가 증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산층 투자자까지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규제로 인해 많은 중산층이 자산을 주식으로 옮겼는데, 이들이 갑작스레 과세 대상이 됩니다.
○장기 투자 위축: 세금 부담이 늘어나면 투자자들은 단기 차익 실현에 치중하거나 주식 시장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본시장 활성화 역행: 선진국들은 자본시장 확대를 위해 장기 투자를 장려하고 세제 혜택을 주지만, 이번 조치는 그 흐름과 반대입니다.
📌 중산층 자산가치 방어 필요
우파적 관점에서는 ‘진짜 부자’가 아닌, 은퇴자금이나 노후 대비로 주식에 투자한 중산층까지 세금 부담을 지는 것은 조세 정의와 거리가 있습니다. 세금은 ‘소득 있는 곳에 공정하게 걷되, 투자 의욕을 꺾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 지켜져야 합니다.
3. 배당소득 분리과세 논란: 부자 감세 vs. 투자 활성화
📌 시장 친화적 시각
배당소득세를 일정 금액 이상부터 종합과세에 포함하는 현 제도는 최고 49.5%의 세율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기업의 배당 정책과 개인의 투자 의지를 크게 위축시킵니다.
○찬성 시각(우파):
투자자들이 배당을 통해 얻는 소득을 과도하게 세금으로 빼앗으면, 결국 자본시장으로 들어올 돈이 줄어듭니다.
배당 분리과세를 허용하면 투자 유입이 늘어나고, 기업도 주주 친화적인 배당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 수 있습니다.
○반대 시각(좌파):
‘부자 감세’라는 이미지가 강해 국민 여론 악화를 우려.
📌 장기적으로는 투자 확대 효과
우파 관점에서는 단기적인 여론보다 경제 성장의 선순환이 더 중요합니다. 세제는 국민을 가난하게 만들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투자와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장치여야 합니다. 따라서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4. 종합 평가: 작은 정부와 시장 자율 원칙 회복 필요
윤석열 정부의 이번 세제 변화는 ‘세제 정상화’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우파 관점에서는 세수 확대를 위한 역행적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법인세 인상: 기업 투자 위축 → 일자리 감소 → 국민 부담 전가
•대주주 기준 강화: 중산층까지 과세 확대 → 투자 위축 → 자본시장 활력 저하
•배당소득 분리과세 논란: 성장보다 여론에 치중 → 자본시장 장기 발전 저해
우파가 지향하는 원칙은 작은 정부, 효율적 조세, 시장 자율입니다. 세수 확대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 활력 회복과 국민 자산 성장입니다.
5. 앞으로의 대응 전략
기업
•해외 진출 및 세무 전략 강화 필요
•법인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R&D 세액공제 등 정부 지원 활용 극대화
○개인 투자자
•대주주 기준 강화에 대비해 포트폴리오 분산 투자 검토
•장기 투자 대신 비과세 금융상품 적극 활용
○정책 제언
•법인세 인상 대신 불필요한 정부 지출 축소로 재정 건전성 확보
•대주주 기준은 최소한 OECD 평균 수준에 맞추어 투자 위축을 방지
•배당소득 분리과세 확대를 통해 자본시장 유입 자금 활성화
결론: 성장 없는 증세는 답이 아니다
세금은 국가 재정을 위한 필수 수단이지만, 성장이 없는 증세는 결국 국민에게 부담만 안긴다는 것이 우파의 확고한 원칙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이번 개편을 통해 얻는 세수는 일시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업 투자와 국민 자산 형성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증세가 아닌 경제 활력 회복입니다.
작은 정부와 시장 자율이라는 원칙을 다시 세우고, 국민이 노력한 만큼 보상받을 수 있는 공정하고 자유로운 세제 환경을 만드는 것이야말로 한국 경제를 살리는 길입니다.
반응형